전체 글58 01. Spring Boot 3.0 시작하기 최근 개인사가 바빠 자기계발에 신경쓰지 못했다. Spring 3.0 버전대가 릴리즈됐고, Java17이 나왔지만 써본적도 없다. 그렇다고 마냥 놀았냐고 하면 그건 아니다. 사내 프로젝트로 메신저 기능을 주도해서 개발하고 있고, 플러터로 기존 앱을 마이그레이션하고 있다. 하지만 역시 내 본분은 백엔드로서 스프링 프레임워크를 다루어야한다고 생각했다. 1. 프로젝트 시작하기 먼저, Spring Initializr(https://start.spring.io/)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참고로, Spring Framework 3.0 버전대는 Java 17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 - 빌드 및 종속성 관리에는 Gradle을 사용할 것으로, Gradle - Groovy를 선택한다. - 언어는 Java를 사용할 것이므로,.. 2023. 3. 12. 개발 서버를 무료로 배포하고 싶을 땐? 서버리스처럼 콜드스타트가 존재한다는 점이 아쉽지만 무료이며, 개발용으로는 충분한 스펙과 TLS 인증서, 간단한 배포 방식(Github과의 연동) 등이 아주 메리트있습니다. 이를 활용해 2023년은 조금 더 열심히 개발하기를...(나 자신아) 01. 시작하기 클라우드타입 홈페이지(https://cloudtype.io/)로 이동합니다. 모두의 플랫폼팀, 클라우드타입 클라우드타입은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입니다. cloudtype.io 로그인을 하게 되면, [내 GitHub 저장소 배포하기]라는 버튼이 보이게된다. 02. 배포하기 내 형상에 맞게 환경변수를 조절하고 하단의 [배포하기]를 선택하면 배포가 시작된다. 3. 배포 결과 실패했다... 뭐.. 2023. 2. 27. Docker Swarm 환경에서 자원 할당을 해보자. docker compose file의 deploy 영역 밑에 resources 라는 영역을 이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reservations 최소로 보장하는 자원 limits 최대 사용 가능한 자원 cpu의 경우, cpus라는 예약어를 통해 사용 가능한 비율을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예제로 보면, 25%를 최소로 보장하며 최대 50%까지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한 예제입니다. 메모리는 아래와 같이 단위를 사용하여 명시할 수 있습니다. (b, k, m, g 등) services: temp_image: image: ~~~~ volumes: ~~~ deploy: resources: reservations: cpus: "0.25" memory: 1024M limits: cpus: "0.5" memory: .. 2023. 1. 29. MongoDB에 Replication을 설정해보자. 1. Replication 설정 [root@mongodb-01 ~]# mongosh --eval "printjson(rs.initiate())" Current Mongosh Log ID: 638448e842b9e0f3852f4230 Connecting to: mongodb://127.0.0.1:{port}/?directConnection=true&serverSelectionTimeoutMS=2000&appName=mongosh+1.6.0 Using MongoDB: 6.0.3 Using Mongosh: 1.6.0 For mongosh info see: https://docs.mongodb.com/mongodb-shell/ ------ The server generated these startup warni.. 2022. 11. 28. MongoDB를 설치해 보자 MongoDB v6.0 CentOS 7.x로 진행됩니다. 1. yum repository 추가 [root@mongodb-01 ~]# vi /etc/yum.repos.d/mongodb-org-6.0.repo [mongodb-org-6.0] name=MongoDB Repository baseurl=https://repo.mongodb.org/yum/redhat/$releasever/mongodb-org/6.0/x86_64/ gpgcheck=1 enabled=1 gpgkey=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6.0.asc 2. yum repository 확인 yum list 명령어를 통해 mongodb 관련 패키지가 정상적으로 보이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ot@.. 2022. 11. 28. 리눅스의 useradd 명령어에 대해 알아보자 사용자를 추가해서 사용하는 이유 사실 간편하게 사용하려면 루트 계정으로 모든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럼 내가 무언가 권한을 주거나, 소유주를 바꿀 필요도 없죠. 하지만, root로 모든 것을 관리하다 보면 보안상 문제가 있습니다. 루트 계정만 탈취당하면 모든 서버에서의 동작 권한을 가질 수 있거든요. 그래서 우리는 루트 계정으로의 SSH를 막고, 사용자 별 권한을 적절히 주어 사용하고자 합니다. 1. 사용자 추가 명령어 (useradd) useradd 명령어를 통해 리눅스 서버 내에 사용자 계정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root@private-server home]# useradd [option] [username] -- 옵션 -- -m : 해당 유저의 홈 디렉토리를 같이 생성 -g : 그룹 지정 .. 2022. 11. 25.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